간행물관리 보기
국방 100년의 역사(1919~2018) ebook pdf
국방 100년의 역사(1919~2018) 발간일 2020.6.30. | 조회수 3183

1919년~2018년의 국방역사를 4개의 대주제와 10개의 소주제로 구분하여 기술, 국방역사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군의 정통성 인식에 기여함.

내용 및 목차

 

목 차


서 문  1


제Ⅰ부 국군의 이념, 조직과 정책
제 1 장 창군과 이념
제 1 절 항일투쟁 정신과 사상  9
1. 일본제국의 한국 침략  9
2. 한국인의 의병투쟁 정신과 독립전쟁 사상  11
제 2 절 광복군의 창설과 이념  21
1.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21
2.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이념  24
제 3 절 국군의 창설과 이념  32
1. 대한민국정부 수립  32
2. 국군 창설과 이념  39
제 2 장 국방조직 변천
제 1 절 대한민국임시정부기(1919. 4.~1945. 8.)  47
1. 상하이 임시정부 시기 군사조직  47
2. 충칭 임시정부 시기 군사조직  53
제 2 절 국군 창설기(1945. 8.~1950. 6.)  60
1. 미군정의 국군 창설 준비  60
2. 국군 창설  67
제 3 절 6·25전쟁 및 전후 정비기(1950. 6.~1961. 5.)  74
1. 국방부본부  74
2. 육군본부  76
3. 해군본부  77
4. 공군본부  79
제 4 절 국방체제 정립기(1961. 5.~1969. 12.)  80
1. 국방부본부  80
2. 연합참모본부와 합동참모본부  81
3. 육군본부  83
4. 해군본부 및 해병대사령부  84
5. 공군본부  85
제 5 절 자주국방 강화기(1970. 1.~1993. 2.)  85
1. 1970~80년대(1970. 1.~1989. 12.)  85
2. 1990년대 초(1990. 1.~1993. 2.): 「장기국방태세발전방향 연구(818계획)」 시행  90
제 6 절 국방태세 발전기(1993. 2.~현재)  94
1. 국방부본부  94
2. 합동참모본부  97
3. 각 군 본부  99
4. 상비병력 감축 및 국방인력구조 개편  105
제 3 장 국방정책 변천
제 1 절 대한민국임시정부기(1919. 4.~1945. 8.)  107
1. 상하이 임시정부 시기 군사정책  107
2. 충칭 임시정부 시기 군사정책  111
제 2 절 국군 창설기(1945. 8.~1950. 6.)  115
1.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정책과 주한미군 철수  115
2. 국방정책의 태동  120
제 3 절 6·25전쟁 및 전후 정비기(1950. 6.~1961. 5.)  123
1. 6·25전쟁기(1950. 6.~1953. 7.)  123
2. 전후 정비기(1953. 7.~1961. 5.)  129
제 4 절 국방체제 정립기(1961. 5.~1969. 12.)  135
1. 국내외 정세  135
2. 국방정책 기본방향  138
제 5 절 자주국방 강화기(1970. 1.~1993. 2.)  143
1. 박정희 정부(1970. 1.~1979. 12.)  143
2. 전두환 정부(1980. 1.~1988. 2.)  146
3. 노태우 정부(1988. 2.~1993. 2.)  149
제 6 절 국방태세 발전기(1993. 2.~현재)  153
1.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부: 미래지향적 국방정책 추진  153
2. 이명박·박근혜 정부: 정예 선진국방 추진  159
3. 문재인 정부: 유능한 안보, 튼튼한 국방 추진  164

제Ⅱ부 전력증강과 국방개혁
제 4 장 전력증강 추진
제 1 절 대한민국임시정부기(1919. 4.~1945. 8.)  169
1. 상하이 임시정부 시기 169
2. 충칭 임시정부 시기  174
제 2 절 국군 창설기(1945. 8.~1950. 6.) 179
1. 미군정의 국군 창설 준비  179
2. 국군 창설  183
제 3 절 6·25전쟁 및 전후 정비기(1950. 6.~1961. 5.)  200
1. 6·25전쟁기(1950. 6.~1953. 7.)  200
2. 전후 정비기(1953. 7.~1961. 5.)  203
제 4 절 국방체제 정립기(1961. 5.~1969. 12.) 210
1. 미국의 대한군사원조  210
2. 군비확충  211
3. 향토예비군 창설  212
제 5 절 자주국방 강화기(1970. 1.~1993. 2.)  214
1. 「한국군현대화계획(1971~1975)」 시행  214
2. 방위산업 육성  216
3. 전력증강사업(제1·2·3차 율곡사업)  223
4. 예비군의 전력화 및 정신전력 강화  234
제 6 절 국방태세 발전기(1993. 2.~현재)  236
1. 전력증강 사업 및 방위산업 육성  236
2. 국방정보화 추진  260
3. 현재의 주요 부대 및 보유 전력  273
제 5 장 국방개혁 추진
제 1 절 노태우 정부: 「장기국방태세 발전방향 연구(818계획)」 추진  279
1. 추진 배경  279
2. 목표 및 추진 과제  281
3. 추진 경과  282
4. 추진 결과  286
제 2 절 김영삼 정부: 「21세기 국방태세 연구」 추진  286
1. 목표 및 추진 분야  286
2. 추진 경과 및 결과  287
제 3 절 김대중 정부: 「5개년 국방발전계획」추진  292
1. 목표 및 추진 중점  292
2. 추진 경과  293
3. 추진 결과  295
제 4 절 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추진  299
1. 노무현 정부: 「국방개혁 2020」 299
2. 이명박 정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2009~2020」 및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2~2030」  303
3. 박근혜 정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 309
4. 문재인 정부: 「국방개혁 2.0 기본계획」 310

제Ⅲ부 전쟁 수행과 군사대비태세
제 6 장 전쟁 수행
제 1 절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319
1.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방침과 군제  319
2. 북간도 독립군의 독립전쟁  320
3. 임시정부의 의열투쟁과 한·중 연합  323
4. 한국광복군의 대일 선전포고와 대일항전  326
제 2 절 6·25전쟁  331
1. 전쟁의 배경  331
2. 6·25전쟁의 수행  333
3. 6·25전쟁의 휴전과 영향  347
제 3 절 베트남전쟁 파병  351
1. 파병의 배경  351
2. 베트남전쟁 파병: 제1차 파병∼제4차 파병  352
3.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수행  363
4. 베트남전쟁 파병의 영향과 의의  367
제 7 장 군사대비태세
제 1 절 민·관·군·경 통합방위태세  371
제 2 절 전면전 대비태세  375
1. 휴전선 및 수도권 도발 대비계획  376
2. 전면전 대비 작전계획 수립  381
3. 한미 연합방위태세 구축  390
제 3 절 침투 및 국지도발 대비태세  400
1. 대침투작전 수행  401
2. 국지도발 대비태세 유지  417
제 8 장 교육 훈련
제 1 절 학교 교육 및 부대훈련  425
1. 독립군 및 광복군 양성교육  425
2. 미국식 교육훈련제도 도입기(광복 이후∼6·25전쟁 이전)  429
3. 미국식 교육훈련체계 모방기(6·25전쟁∼1960년)  434
4. 교육훈련체계 구축기(1961년∼1989년)  443
5. 전투임무위주 교육훈련기(1990년∼현재)  455
제 2 절 정신교육  464
1. 군 정신전력 체계  464
2. 군 정신교육의 변천  467

제Ⅳ부 국민과 세계와 함께해 온 국방
제 9 장 국민과 함께하는 국방
제 1 절 국방비와 국민경제  501
1. 국방비와 국방기획관리제도  501
2. 미국의 군사·경제원조 지원  505
3. 국방예산 편성과 운용의 변천  511
4. 국방예산과 국민경제  521
제 2 절 군 병영문화와 복무여건 개선  526
1. 군 병영문화 개선  526
2. 병영시설 현대화와 군 의료체계 개선  538
제 3 절 국가시책 지원  547
1. 문맹자 퇴치와 공민교육  548
2. 국군의 국토개발 참여  550
3. 재해복구와 대민지원  552
4.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지원  555
제10장 국방외교와 국제협력 활동
제 1 절 국방교류협력 활동  563
1. 주변 강대국과 국방교류협력  564
2. 지역별 주요 국가와 국방교류협력  565
3. 국제 비확산·대확산활동  569
4. 다자안보협력활동  571
제 2 절 유엔 평화유지활동(UN PKO)  573
1. 개요  573
2. 부대 단위 파병  573
3. 개인 단위 파병  585
제 3 절 다국적군 평화활동  586
1. 개요  586
2. 부대 단위 파병  589
3. 개인 단위 파병  607
제 4 절 국방협력 활동  608
1. 아크부대 파병  609
2. 아라우부대 파병  611

맺 음 말  615
참고문헌  639
찾아보기  668

발간부서

국방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