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전몰용사 공훈록
이영래(이영래)
- 군별 : 육군
- 계급 : 일병
- 군번 : 0184621
- 전몰일자 : 19510216
공훈사항
이영래 일병은 1919년 8월 9일에 출생했다(출생 장소 미상). 그는 6·25전쟁 발발 후 북진하였던 국군과 유엔군의 주력이 중공군의 참전으로 38도선으로 후퇴하던, 1950년 12월 31일 입대하여 대구에 위치한 육군 제1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한 후 훈련소 조교요원으로 배치되었다.
이영래 일병이 훈련소에 배치될 무렵 전황은 1·4후퇴로 37도 선의 평택-안성선까지 물러난 국군과 유엔군이 전력을 회복한 후 총반격을 개시하면서 23만 명의 대병력으로 서울재탈환 작전을 실시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제1훈련소는 신병교육에 주력하면서 인근에 출몰한 적들의 유격활동에 대응하고 있었다.
한편, 육군본부는 개전 이래 병력 확보와 각 지역 방위 임무를 동시에 해결할 목적으로 1950년 7월 초순 각 도별로 편성관구사령부를 설치하고 신병 확보와 더불어 후방지역작전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리고 신병교육을 위해 8월 14일 대구에서 육군본부 직할로 제1훈련소가, 부산에는 제2훈련소가 창설되었고, 8월 22일에 경남 구포에 제3훈련소가, 제주도 모슬포에 제5훈련소가 창설되면서 신병을 양성했다.
그런데 제1훈련소는 1951년 1월 22일에 제주도 모슬포로 이전하여 원래 이곳에 있던 제5훈련소와 통합하면서 3월 14일부로 명칭이 제1훈련소로 통일되었다. 제주도는 제주 4·3사건(1948년 4월 3일 발생) 때 군・경의 토벌작전에서 살아남거나 한라산으로 도피한 적 게릴라 잔당들이 수시로 출몰하여 지서나 관공서 등을 습격, 파괴했다.
이들의 유격활동은 중공군의 참전으로 전선이 38도, 37도선까지 남하하자 더욱 극심해졌다. 당시 상황이 긴급했고 병력도 부족했기 때문에, 게릴라들이 출몰할 때마다 제주도 주둔 해병대사령부나 제1훈련소 병력이 출동해서 이들을 소탕했다.
제1훈련소는 신병훈련에 주력하면서 조교 포함 기간요원으로 기동타격대를 편성하여 게릴라 소탕 작전을 수행했다. 1951년 2월 16일 남제주군청에 적이 출몰했다는 신고가 들어왔고, 기동타격대원들은 이들 소탕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 전투에서 이영래 일병은 대원들과 함께 적 게릴라와 교전 중 적탄에 맞아 장렬하게 전사했다.
정부는 호국의 별이 된 故 이영래 일병의 공적과 숭고한 희생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위패(33판-41면-22554호)를 국립대전현충원에 설치했다. 전쟁기념관은 전사자 명비(125-ㄱ-059)에 그 이름을 새겨, 그의 나라 사랑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