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언론보도
글번호
i_47000000000581
일 자
2008.06.23 09:30:31
조회수
2467
글쓴이
관리자
제목 : [국방일보]다시보는 6·25-<72>국군 방어계획과 북한군 남침공격계획
다시보는 6·25 - [군사기획]
<72>국군 방어계획과 북한군 남침공격계획
의정부 방어에 중점…38선 확보가 목표

6·25 이전 국군 방어계획은 1949년 12월 27일 육본 정보국에서 작성한 ‘49년 연말 종합정보보고’에 의해 50년 1월 그 시안(試案)이 처음 수립됐다. 육군본부는 주한미군 철수 후인 49년 8월 북한의 남침준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사단방어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했다.

49년 11월에는 사단작전참모 이상 관계관·미 고문단과 합동회의를 갖고 방어계획 시안을 마련했다.

방어계획은 신태영 육군총장의 지시로 작전국장 강문봉 대령이 주동이 돼 작성했다. 방어계획은 기본계획과 부록으로 이뤄졌다. 육본은 50년 3월 25일 국군 방어계획(정식명칭 육군본부 작전명령 제38호)을 확정 짓고, 이를 각 사단에 하달했다. 각 사단은 3월 말 방어계획을 수령, 5월 초 사단 자체 방어계획을 수립했다. 사단 방어계획은 먼저 방어선 점령을 위한 기본계획 위주로 작성됐고, 화력·장벽·역습계획은 작성 중에 전쟁을 맞았다.

국군 방어계획은 적의 주공이 철원 ~의정부 ~서울 축선에 지향될 것으로 판단하고, 의정부 지역에 방어 중점을 뒀다. 방어 목표는 적을 방어진지 전방에서 격파, 38선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38선 방어를 위해 옹진의 방어부대는 적의 전면 공격시 인천으로 해상철수하고, 개성지역의 방어부대는 지연전을 실시하다가 임진강 남안의 방어선으로 철수하며, 기타 부대는 지연전을 실시하고 후방의 예비 사단(3개사단)은 역습부대로 운용할 계획이었다. 이때 후방지역 작전은 경찰·청년방위대가 중심이 돼 관할 지역 내 해·공군부대와 협조·수행케 했다. 38선에서 적을 저지하지 못할 경우 강을 이용해 지연전을 전개하되 최초에는 한강 이남에서, 차후는 금강·낙동강에서 적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북한군 남침 공격계획은 50년 4월 15일 북한군을 창설한 스미르노프 소장을 비롯한 소련 군사고문관이 철수하고, 작전 전문가로 구성된 새로운 군사고문관에 의해 수립됐다. 김일성도 50년 4월 소련 방문 후 북한군 총참모부에 남침 공격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그러나 북한군 수뇌부의 군사경력·능력 면에서 전쟁계획 수립은 역부족이었다.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소장)의 증언에 따르면 이 계획이 러시아어로 작성됐다는 점에서 소련 군사고문관이 중심이 돼 수립됐음을 알 수 있다. 소련 고문단장 바실리예프 중장을 비롯한 고문관은 제2차 세계대전 시 독소전에서 풍부한 전투경험을 한 작전통이었다. 북한군의 소련군 출신 간부들이 총참모장 감독하에 이를 한글로 번역했을 뿐이다.

남침계획은 5월 29일 완성됐고, 공격일은 7월 말이었다. 남침계획은 6월 16일 북한 주재 소련 대사(스티코프)를 통해 스탈린에게 보고됐고, 그는 이를 승인하고 6월 말까지 공격준비를 끝내도록 했다. 하지만 김일성은 6월 말 공격을 주장했다. 그는 공격개시일이 늦어질 경우 북한군의 남침준비 정보가 누설되고, 7월에는 장마로 인한 부대기동 제한을 우려했다.

소련 고문관도 이에 동의, 남침 일자는 김일성의 뜻에 따라 6월 25일로 정해졌다. 일요일을 공격일로 정한 것은 경계가 소홀해 최대의 기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략적 의도가 숨어 있었다.

남침계획은 6월 말 전면공격으로 2일차에 서울을 점령, 남한의 ‘인민봉기’를 유발해 한국 정부를 전복하면 이때 북한군은 신속히 남해안까지 진출해 미 증원군의 한반도 전개를 저지, 1개월 내 전쟁을 종결하고 8월 15일까지 서울에 ‘통일공산정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남정옥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일보-2008.06.23]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정 삭제
목록으로
다음글 [국방일보]국군발달사-<21>6·25전쟁과 남겨진 과제
이전글 [국방일보]국군발달사-<20>6·25전쟁과 전사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