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언론보도
글번호
i_47000000000033
일 자
2003.07.20 19:23:07
조회수
2484
글쓴이
관리자
제목 : 한민족의 대외 파병역사 (하) (국방일보)



제목 : 한민족의 대외 파병역사 (하)

저자 : 군사사부 선임연구원 서인한

수록 : 국방일보,2002.02.02


한국군의 베트남 및 PKO 파병

c20세기 중반에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 출범한 한국은 1950년에 북한군의 남침공격으로 시작된 6·25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그로부터 10여 년 후인 1964년에 최초로 베트남에 파병하였다. 전쟁이 격화되자 같은 분단 국가인 ''베트남 전선과 한국 전선이 직결되어 있으므로 공산주의 차단이 곧 한반도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었다. 이때 우방국 미국과 남베트남 정부가 지원군 파병을 요청해오자 국회 동의를 받아 그 해 9월에 제1차로 140명 규모의 이동외과 병원과 태권도 교관단을 파견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수차에 걸쳐 전투 부대를 추가로 파병하였고, 1971년 12월의 제1단계 철수로부터 1973년 3월에 이르기까지 8년 반 동안 육해공군 연인원 325,500여명이 참전하였다. 5천여 명의 인명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 대외 파병 역사상 최장기간 최대 규모를 투입한 베트남 출병이었다. 그 결과 국군의 작전능력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실전경험을 축적하여 자주국방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치·외교·경제적으로도 엄청난 파급효과를 창출함으로써 국위 선양과 국력신장의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c이와 같이 대한민국과 국군의 위상이 국제사회에서 크게 고양되자 국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역할 분담도 새롭게 요구되었다. 그리고 유사시 우방국과의 안보협력 및 대북 전쟁 억제력 강화 등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도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증대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이 무렵인 1990년 8월에 이라크가 무력으로 쿠웨이트를 합병하자 미국을 비롯한 유엔 동맹국들은 이라크에 대한 각종 제재조치를 단행하였다. 당시 한국은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으나 국제사회의 제재조치에 동참하면서 다국적군으로서 1991년 1월에 의료지원단 154명을 사우디에 파병한데 이어 2월에는 공군 수송단 160명을 항공기 5대(C-130)와 함께 아랍에미리트연합에 파병하였다. 이들은 불과 몇 개월만에 복귀하였으나, 중동 특유의 지형 및 기상조건에서 전개된 초현대전을 체험하고, 한국의 이미지를 아랍권에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c그리고 1991년 9월에 대한민국이 유엔에 가입하여 회원국 자격으로 평화유지활동(PKO)에 참여하게 되면서 파견 대상국도 수적으로 증가하였고, 파병 기간도 늘어났다. 그에 따라 경찰과 민간인들도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하게 된 것은 국가 위상을 제고시킨 또 하나의 성과였다. 그 후로 국군은 소말리아에서 철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서부사하라·앙골라·그루지아·인도·파키스탄·동티모르에 주둔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c이 같은 국군 파병의 결과로 한국은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이 더 한층 고양된 것은 물론, 이들 국가의 경제 부흥에 직간접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국익 증진의 기회를 확보하게 되었다. 대내적으로는 유사시 무력 응징에 대한 정당성과 우방국의 지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군사 경험을 축적하고 연합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는 전술적 이득도 해외 파병이 가져다 준 소중한 성과일 것이다.

c이와 같이 우리 한민족이 군대를 나라 밖으로 파병한 경우는 대체로 주변국의 요청에 따라 정치·외교적인 차원에서 국익(國益)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추진되었다. 고려왕조나 조선왕조를 막론하고 연합군의 성격을 띤 파병에서는 정치·외교적 목적에서 주변 강국으로부터 강요된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당시 우리 선인들은 한결같이 대의 명분과 국익을 위해 실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려고 고심했다. 따라서 때로는 찬반 양론으로 대립하여 심한 정치적 갈등을 빚기도 했으나, 수많은 전쟁 물자를 자급(自給)해야하는 어려움에 이르기까지 민족적 단결로 극복해 내는 지혜를 발휘하기도 했다. 우리는 이러한 파병의 역사적 경험을 13세기 말 고려와 원이 여원연합군을 결성한 이후로 무려 7백여 년 축적해 왔다. c오늘날 베트남과 PKO 파병의 보이지 않는 뿌리도 바로 여기에 있다는 사실(史實)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정 삭제
목록으로
다음글 忠孝精神은 우리 民族 精神의 뿌리이다 (월간 忠孝)
이전글 한민족의 대외 파병 역사(중) (국방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