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언론보도
글번호
i_47000000000153
일 자
2004.09.14 09:27:26
조회수
2055
글쓴이
관리자
제목 : [국방일보]우리 조상은 어떤 전법으로 싸웠을까?
========= 군사조직 하부 메뉴 View 끝 ========== > <script> function print(dt, menuCd, menuSeq, v_k_seqn, posi ){ centerNewWin('/submenu/toprint.asp?v_w_date='+dt+'&menuCd='+menuCd+'&menuSeq='+menuSeq+'&v_k_seqn='+v_k_seqn+'&posi='+posi, 'print', '580', '600'); } </script> <script> function massage(dt, menuCd, menuSeq, v_k_seqn){ centerNewWin('/submenu/topMail.asp?v_w_date='+dt+'&menuCd='+menuCd+'&menuSeq='+menuSeq+'&v_k_seqn='+v_k_seqn+'&subject=우리 조상들은 어떤 전법으로 싸웠을까?', 'email', '450','400'); //alert('기사메일 서비스는 2004년 1월 10일 이후에 가능합니다'); //return; } </script>
 연예    전시/공연    기타  
  우리 조상들은 어떤 전법으로 싸웠을까? [국방일보,2004,08,21]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

전쟁이 많던 한국사 속에서 우리 조상들은 어떤 전법으로 싸웠을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정해은(鄭海恩·38·문학박사)연구원에 의해 ‘한국 전통 병서 이해’라는 책이 최근 출간돼 이 질문에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민간 역사연구가로 있다가 2001년부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저자는 국방부에 들어와 놀라웠던 사실은 “국방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눈감고 외울 만큼 내용을 상세히 알면서도 정작 우리 전통 병서에 대한 이해는 그다지 높지 않다는 점이었다”고 말했다.

사실 오랜 동안 발전을 거듭한 우리의 군사이론이나 전법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계승되지 못하고 사장됐다. 광복 이후 1946년에 한국군이 창설됐으나 서구의 군사기술을 서둘러 수용하는 과정에서 전통 병학을 접목시킬 기회를 갖지 못했다.

그 결과 현재 우리의 전통 국방이론이나 전법은 서양의 군사이론보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또 전통 병서가 한자로 쓰여 체득하기 쉽지 않다는 사정도 함께 자리하고 있다.

저자는 “군사편찬연구소에 있으면서 일선에서 근무하는 장교들로부터 한국의 전통 병서에 대해 아주 기초적인 질문을 종종 받았다”며 “그때마다 한국의 병서를 쉽게 소개하는 책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고 연구 결과 이 책을 발간하게 됐다”고 발간 동기를 밝혔다.

이 책의 주요 특징은 첫째,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를 돕는 길라잡이로서 책을 펼치면 한국의 전통 병서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고 각 병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병서의 정보 전달에만 목적을 두지 않았다. 한국사를 전공한 저자는 어떤 병서가 왜 그 시대에 출현했는가를 역사적 관점에서 풀이했다.

셋째, 병서를 소재로 했으나 읽는 맛을 느낄 수 있는 책으로 탄생시켰다. 병서라고 하면 자칫 진부하거나 딱딱하다고 생각하기쉬우나 이 책은 ‘건조’하지 않다. 학술 연구에 철저히 바탕을 두면서도 일반 독자의 눈높이에 맞춘 글쓰기를 했다.

저자는 “한국의 전통 병서는 고려시대 이전의 것은 남아있지 않고 조선시대 병서 80여 종이 전해지고 있다”며 “이 책은 현재 전해오는 병서 가운데 대한제국이 성립된 1897년 이전에 편찬된 병서를 대상으로 해 중요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병서 39종을 선별했다”고 설명했다.

저자는 “이 책을 읽는 동안 의무감에서가 아닌 자연스럽게 국방의식을 느끼고 조국애를 고양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수정 삭제
목록으로
다음글 [국방일보] 전직 연구원 초청 토론회
이전글 [국방일보]美 CIA의 '영도유격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