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청룡·맹호·백마부대는 전선없는 전장에서 북베트남군 및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베트공)과 치열한 전투를 수행하고 있었다.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은 책임지역내에서 독자적 작전 통제권을 행사하면서, 미군 및 남베트남군 등과 긴밀한 연합작전협조체제를 유지했다. 그리고 또 다른 전장에서는 제100군수 사령부가 700여 Km의 광범위한 작전 종심이었지만 지속적인 전투근무지원을 원할하게 수행했다.

제100군수 사령부(十字星 부대) 창설

전투부대가 전선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작전 여건을 보장하는데 있어 전투근무지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년 평균 34도 내외의 무더운 기상과 울창한 정글로 형성된 험준한 산악, 늪지대 등 온갖 악조건을 극복하고 헌신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십자성 부대의 명칭은 ‘장거리 이격된 전투부대의 작전 지원을 하는 남국의 길잡이인 네 개의 별로 구성된 십자성’이라는 의미이다.

제3차로 수도사단과 제2해병여단의 파병이 결정되자, 남베트남에 주둔하고 있는 비둘기 부대와 추가로 파병되는 전투부대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군수지원부대의 창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65년 9월 1일부로 강원도 홍천에서 한국군 창설 이래 최초의 통합 군수부대로 7개 기술병과 19개 부대로 구성된 ‘군수지원사령부’가 창설되어수도사단에 배속하고, 초대 사령관으로 이범준 준장을 임명했다.

소정의 훈련을 마친 군수지원사령부 장병 3706명은 수도사단과 함께 1965년 11월 3일까지 전 부대가 남베트남의 뀌년(Quy Nhon)에 상륙했다.

주요 활동

이후 제9사단을 비롯한 추가부대가 파병됨에 따라 1966년 6월 1일부로 제100군수사령부로 개편하면서 8000여 명으로 증편하고, 수도사단으로부터 주월 한국군 사령부로 배속을 전환했다. 이와 함께 사령부의 위치를 뀌년에서 냐짱(Nha Trang)으로 이동 후 십자성 부대는 8개 기지를 운용하면서, 파병 전 기간을 통하여 한국군 부대에 대한 군수지원과 각종 건설공사를 병행하여 수행했다. 제1지원단은 수도사단, 제1지원단 예하 제11지원대대는 해병여단, 제2지원단은 제9사단과 야전사령부를 각각 지원했다.

특히 수십 년간 베트콩이 장악하고 있던 닌호아와 뚜이호아 간의 1번 도로 개통을 위한 군수물자 수송 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그리고 1967년 건군 이후 최초로 UH-1D헬기 및 경비행기로 편성된 제11항공중대를 창설하여 각종 작전지원과 보급품 공수 등 효과적인 공지합동작전을 수행했다.

또한 십자성 3호작전 등과 같은 전투도 수행했으며, 장병들의 입맛에 맞도록 K-레이션(오늘날 전투식량) 및 전투복과 정글화를 한국에서 조변하여 조달함으로써 전투력 발휘를 용이하게 했다. 한편 미군 기지 건설 사업에 한국인과 한국 기업체를 적극 참여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수도사단이 주둔했던 뀌년 항구에서의 한진(韓進) 근로자의 보호, 현대건설의 깜란만 지역 공사 등을 통해 한국 기업이 오늘날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병 기간 동안 5차에 걸친 군수지원체제 변경을 거쳐 지역 개념에 의한 지원 체제로 전술 제대가 작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최대의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철수 시까지 연 인원 6만 5천여 명의 장병들은 군수 지원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체계화하여 고도로 발전된 보급 제도와 장비 조작 및 정비 기술을 연마했다. 그리고 철수 시 초과 및 잉여 장비를 효과적으로 후송 시켜 국군의 장비 현대화와 국내 보급품의 조달 체계 개선 등 많은 기여를 했다. 이러한 해외 파병부대의 장거리 군수 지원 경험은 걸프전과 이라크 파병 부대 등에 대한 육·해·공군의 입체적인 군수 지원의 밑거름이 되었다.

편성

1965. 9. 15∼1966. 5. 31
사령부
본부중대
제26헌병중대
제6후송병원
제103공병대대
제239수송자도차중대
제257병참중대
제10병기중대
제102탄약중대
제1통신근무대
군사정보대
방첨대
제1화학지원소대
해병지원대대 41/593
본부소대
화학정비보금반
헌병소대
치료중대
탄약소대
병참지원대
병기지원대
자동차중대
통신근무대
공병대
군사정보대
방첨대
  • 1. 제103공병대대
    • 1개 중대 : 해병여단 배속(1965. 9. 15∼1966. 4. 5 복귀)
    • 1개 중대 : 건설지원단 배속(1966. 3. 10∼) ?
    • 제100군수사령부의 예속부대로서 1966년 6월 1일 창설되어 냐짱에서 임무 수행
    • 1970. 5월 : 사이공지역의 건설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건설지원단에 배속
    • 1972. 3. 12 : 철수
1966. 6. 1∼1973
군수(창설 1966년 6월 1일) 100
본부
본부
근무(68년 2월 8일)
통신 5
본부
본부통신
통신지원
보충 207
인쇄 8
헌병 62/26
경비(67년 9월 5일)
항공(67년 10월 6일) 11
군수1/2
  • 1. 제1군수지원단(뀌년) : 수도사단 직접지원
    • 제103공병대대, 제6후송병원, 제239수송자동차대대
    • 제11군수지원대대(추라이) : 해병여단 직접지원
  • 2. 제2군수지원단 : 제9사단 직접지원
    • 제116공병대대, 제237수송자동차대대
    • 제102후송병원 : 제9사단(-1), 제100군수사령부, 야전사령부 직접지원→미 제8야전병원
    • 제12군수지원대대, 제9이동외과병원(뚜이호아) : 제28연대 직접지원
  • 3. 제1치료중대(추라이) : 해병여단 직접지원→미 해병의무대대
  • 4. 군수지원단
    • 직할 : 본부중대, 화학소대, 공병대대, 통신중대, 탄약중대(DS), 보급중대(AMMO), 영현중대, 공병중대(S & M)
    • 예속 : 후송병원, 군수지원대대, 병참대대
  • 5. 부대별 지원부대
    부대별 지원부대 정보
    구분 수도사단 제9사단 제9사단 28연대 해병연단
    공병대대 제103공병대대 제116공병대대    
    병참대대 제257대대 제258대대 제302대대 301대대
    수송대대 제239대대 제237대대    
    후송병원   제102후송병원 제9이동외과병원  
  • 6. 통신지원
    • 남베트남-한국 : 미군의 회로 이용, 용산-사이공 직통전화
    • 주월한국군사령부-예하부대 : 미군 D.C.A.에서 운용하는 동남아 통신망 지원

연 혁

  • 1966. 6. 1창설
  • 1967. 7. 1 : 영현근무부대 편성→1968. 2. 8 : 영현근무중대
  • 1967. 9. 5 : 경비중대 창설
  • 1967. 10. 6 : 제11항공중대 창설
    제11항공중대 창설 정보
    탄손누트 나짱 사령부
    12대 U-8 : 1, UH-1H : 2 U-6 : 2 UH-1D : 7

작전 활동

  • 1. 적 위협
    • 82미리 박격포와 75미리 무반동총으로 무장한 2개 대대, 2,000여 명
    • 북베트남군 정규군 제3사단 제18B연대 예하의 2개 대대, 칸호아 성의 2개 공병중대, C-2중대 등 약 880명
  • 2. 부대별 기동타격대 보유, 중대급 : 1개 분대, 대대급 : 1개 중대 규모

항만에서 보급품을 소송하는 십자성부대
항만에서 보급품을 소송하는 십자성부대

제100군수 사령부 예하부대의 배치도
제100군수 사령부 예하부대의 배치도

하늘에서 본 제100군수 사령부 배치도
하늘에서 본 제100군수 사령부 배치도

제100군수 사령부 정문
제100군수 사령부 정문

※ 제100군수사령부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 ⓛ 전사편찬위원회, 「제100군수사령부」,『파월한국군전사』제1권∼제10권, 1971 ∼1985
  • ② 주월한국군사령부,『월남전 종합연구』, 1974, pp. 1157∼1293
하단배경영역